<주간 언론소식> 2024-1-3 ‘성난 고객’ 상대한 감정 노동자, 수면 장애 확률 3배 높다 > 언론보도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언론보도

언론보도

<주간 언론소식> 2024-1-3 ‘성난 고객’ 상대한 감정 노동자, 수면 장애 확률 3배 높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4-02-01 09:58 조회 317회

본문

2024. 1. 18. 뉴스1 김규빈 기자

 

근무 시간 중 절반 이상 화가 난 고객을 상대했다면 수면 장애를 겪을 확률이 3배 가까이 높아진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스트레스를 많이 받을 경우 번아웃 증상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은데, 번아웃 증상은 스트레스 상황에 대처하는 능력을 감소시킨다는 이유에서다. 이 때문에 낮에 겪은 부정적 감정은 자기 전까지 이어지게 되고, 이는 수면을 시작하거나 유지하지 못하게 한다.

 

18일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세브란스병원 소속 백성욱 교수팀은 직장인 1874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연구팀은 근무 시간 중 화가 난 고객을 상대한 비율에 따라 낮음(근무 시간의 25%), 중증도(근무 시간의 50%), 높음(근무 시간의 75%)으로 분류하고 수면장애 정도를 측정했다.

 

수면장애 정도는 수면 시작의 어려움, 수면 유지의 어려움, 수면 후 상쾌함을 느끼지 못함 등에 대해 각각 0~4점으로 평가하고 총점이 6점 이상인 경우 수면 장애가 있는 것으로 간주했다.

 

그 결과 화가 난 고객을 적게 상대한 경우는 수면 장애 확률을 1.52, 중증도는 3.20, 높음은 3.28배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장 생활 중 감정을 억누르는 행위 역시 수면 장애에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 역시 감정 억누르는 행위의 정도를 낮음, 중증도, 높음으로 분류해 수면장애와의 연관성을 측정했다. 그 결과 낮음은 1.45, 중증도는 2.38, 높음은 3.14배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 화가 난 고객을 많이 대하는 직장인은 여성이 많았으며, 소득 수준이 대체로 낮은 편에 속했다. 감정을 억누르는 일을 많이하는 직장인의 경우에는 높은 수준의 교육을 받고, 매주 많은 시간을 일하는 경우가 많았다.

 

연구팀이 화가 난 고객을 대하는 빈도와 수면장애의 연관성의 상관관계에 주목한 이유는 최근 화가 난 고객을 대하는 빈도가 높을수록 우울증을 경험할 비율이 높다는 연구결과가 나왔기 때문이다. 근로자의 번아웃 증상을 유발하는 요인을 분석한다면 업무 이탈 등을 방지하기 위한 정책 개발로 이어질 수 있다.

 

연구팀은 "대인관계에 자주 참여하는 근로자의 심리적 웰빙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효과적인 정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세계적인 과학학술지 네이처(Nature)의 자매지 '사이언티픽 리포트(Scientific Report)'에 게재됐다.




대구FKTU감정노동자권익보호센터
대구FKTU감정노동자권익보호센터
대구광역시 달서구 성서공단북로 132, 3층 감정노동자 지원센터 대표번호 : 053-475-7900 팩스 : 053-475-7910
COPYRIGHT © 대구FKTU감정노동자권익보호센터 ALL RIGHTS RESERVED.
자주찾는 메뉴
프로그램 안내
신청하기
오시는길
TOP